<거래량을 활용한 매매>
◎원리: 거래는 매수 주체와 매도 주체의 만남이다. 따라서 거래량의 급증은 각자의 이유로 주식을 사고 팔려는 투자자들이 많아졌다는 사실을 반증한다. 이는 주가의 움직임을 특정 방향으로 더욱 가속화시키거나 반전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.
◎종목: 일봉상 거래량이 최근일 대비 5배 이상 급증, 장중 순간체결량(연속적 대량거래)이 급증
◎매매
-거래량 증가와 함께 장대양봉 발생 ▶ 매수
-조정 구간에서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조정 ▶ 보유(50%룰 깨는 경우 매도)
-상승과 조정 패턴 반복(거래량은 우하향 추세) ▶ 일부 매도(차익 실현), 일부 보유
-거래량이 우상향하며 추세를 깨는 캔들 발생(신뢰도는 음봉 > 십자형> 양봉 순) ▶ 전량 매도
※거래량은 적은데 장대양봉이나 장대음봉인 경우 주가 등락의 이유가 기업 외부에 있다. 그 이유를 판단해 결정한다.
<연속 급등 종목 매매>
◎원리: 반복은 경향성을 만들고 믿음을 형성한다. 한 번 급등한 주가를 투자자들은 의혹의 눈초리로 쳐다보나 주가가 연속해 급등하면 얼른 상승세에 올라타고 싶은 마음에 조급해한다. 연속 급등 종목에서는 그러한 매수세 심리를 이용한다.
◎종목: 신고가[임박], 5~10일선 위에서 연속 상승, 거래량 실린 장대양봉(매물대 돌파), 테마 주도주
※조정시 거래량이 적어야 좋다.
※조정을 반복할수록 매수세 유입이 약해지니 초기 국면이 좋다.
◎매매
-장중 분봉상 높은 거래량과 함께 양봉 발생 시 ▶ 매수(장초반 무조건 추격 매수하지 말고 일시 조정구간에서 매매)
-장중 시가 혹은 저가를 깨는 주가 흐름을 보일 경우 ▶ 분할 매도
-장후반 장중 고점 돌파 시 ▶ 추매 가능
-조정 하락 구간에서 거래량도 없고 음봉, 십자형 등 매도 신호 없더라도 기간이 질 경우 ▶ 매도(매수세 유입 X)
※시가가 5%이상 갭상승 혹은 갭하락하면서 출발하는 경우, 장중 하락 혹은 반등 불가 가능성이 높으므로 관망한다.
<연속 하락 종목 매매>
◎원리: 연속 급등 종목과 같은 원리(한 번 형성된 경향성은 그 자체로 힘을 가진다). 첫 번째 주가 하락 시 조정이라고 판단해 보유나 추가 매수하던 투자자들도 주가가 연속 하락하면 추세 하락으로 판단, 더 하락하기 전에 매도하려고 한다.
◎종목: 기업 가치의 변화가 아닌 외부 요인으로 하락한 종목, 하락하는 동안 거래량이 많지 않았던 종목(반등 시 돌파해야 할 매물량 고려)
◎매매
-순간체결량이 급증하며 주가 상승하는 경우(개장 직후 30분 이내. 전일 동시간 대비 3배 이상, 전일 거래량 대비 50% 이상) ▶ 매수
-장후반 추가 매수세 유입하며 거래량 급증, 양봉 발생 시 ▶ 추가 매수
-장중, 장후반 거래량 급증하며 음봉 전환 시 ▶ 매도
※뚜렷한 매수 신호가 나타기 전에는 관망, 보유를 원칙
<장중 급등 종목의 매매>
◎원리: 매수 주체의 대량 매수세가 유입되는 시점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함께 매수해 시세차익을 거둔다.
◎종목: 시장, 섹터, 테마의 주도주, 개별 종목의 호재로 급등주
◎매매
-체결단위가 급증하면서 빠른 속도 연속 거래 ▶ 상승초기라면 매수, 이미 상승폭 크면 조정 기다림
-체결단위, 체결속도 감소 확인 후 다시 대량의 매수 체결 발생 시 ▶ 매수
-거래량 증가하며 반락하는 경우 ▶ 매도
<장중 급락 종목의 매매>
◎원리: 기업의 내재적 가치가 아닌 이유(시황, 단기 수급)로 급락한 주가는 곧 원래 가격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 마련이다.
◎종목: 원래 매수세가 강했던 종목이 반등도 크다. 현재 섹터, 테마의 주도주 리스트를 상시 파악하고 있다가 시황으로 인해 하락하는 경우 매수 기회로 삼는다. 하락 시 거래량이 크지 않았던 종목일수록 좋다.
◎매매
-주가 하락을 멈추고 거래량이 증가하며 양봉, 십자형 캔들을 형성하면 1차 매수 기회(해당 섹터, 테마의 주가 흐름을 함께 참고)
-반등 후 재하락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첫 번째 반등 시 수익 실현. 재하락에도 전저점 위에서 다시 강하게 반등하면 추가 매수 가능하다.
<오전 10시 이전의 매매>
◎원리: 장초반은 전일 혹은 기존 투자자들의 이익 실현을 하고자 하고, 새로 진입하려는 투자자는 관망하려고 한다. 따라서 장초반 주가의 움직임은 매도세의 우위로 일시적으로 하락한다. 그러나 이는 곧 새로 진입하려는 투자자에게 좋은 매수 기회가 되기 때문에 곧 주가가 상승한다.
※주가 상승을 기대하는 매수 심리가 시장을 지배하는 강세장에서 잘 맞는 방법
◎종목: 강세장에서 강세 테마의 주도주, 5일선 위에서 급등주
※5%이상 급등락하며 시작하는 종목은 제외
◎매매
-시가 후 하락하면 매수 준비
-거래량 실린 양봉 출현하면 1차 매수, 시가 돌파하면 2차 매수
-장중 시가 근처까지 하락 시 매도
<오후 2시 이후의 매매>
◎원리: 장후반 주가 움직임은 장중 투자자들의 심리나 시황, 이슈를 반영한 후 일어나므로 다음 거래일의 수급을 예견한다. 특히 약세장인 경우 장 초반에 주가가 상승했다가 장후반 하락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장후반 종목의 움직임을 확인하고 거래하는 것이 좋다.
◎종목: 거래량 없이 지속적으로 하락한 종목, 직전 테마 및 섹터 주도주, 주가가 하락한 상태에서 거래량이 급증한 종목
◎매매
-당일 거래량이 최근일보다 3배 이상 증가한 동시에 체결단위와 체결속도가 증가하면 매수
-매수 후 당일 저점을 다시 하향하면 매도
'글읽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박병창의 돈을 부르는 매매의 기술(2) (0) | 2021.12.15 |
---|---|
박병창의 돈을 부르는 매매의 기술 (0) | 2021.12.08 |
월급쟁이의 첫 부동산 공부(2) (0) | 2021.10.30 |
월급쟁이의 첫 부동산 공부(1) (0) | 2021.10.21 |
몸의 철학-몸문화연구소 (0) | 2021.10.08 |